8월을 보내며

―해방의 기쁨과 분단의 한,
식민지 전락의 흑역사가
이 8월에 있습니다.
오늘 무역전쟁의 시련을
잘 극복해 내야 합니다―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 했던가, 지난해 여름은 참으로 무더워 곤욕을 치렀는데 올 여름 또한 그에 질세라 30도를 훌쩍 넘나드는 폭염이 연일 계속 되고 있습니다. 절기상으로는 입추가 지났으니 가을이 시작된 셈인데 23일이 처서(處暑)로 노염(老炎)의 기세도 며칠 지나면 물러가지 않을까, 기대를 갖게 합니다.

사실 올 여름이 더 덥게 느껴진 것은 일본 정부의 무역보복에서 온 충격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그러잖아도 짜증나는 무더위에 수출규제라는 기습 공격을 당하고 보니 어찌 놀라지 않을 수 있겠는가. 전해오는 속설로는 처서가 되면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 모기의 턱이 돌아간다고 하니 더위도 이제 조금만 더 참으면 되지 않을까, 자위를 해봅니다.

우리 대한민국은 해마다 8월이면 ‘빛과 그림자’의 역사적 사실 앞에 서게 됩니다. 1945년 식민지 압제에서 벗어 난 ‘해방의 기쁨’이 그 하나요, 1910년 ‘망국의 치욕’이 그 둘째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해방과 함께 맞은 국토 분단의 비극이 셋째요, 오늘 일본과 벌이고 있는 경제 전쟁이 또한 그렇습니다. 35년의 사슬에서 해방된 기쁨이야 아무리 열광한다 해도 지나침이 없고 나라를 빼앗긴 비통함 또한 아무리 통탄한들 회한이 풀릴 리 없습니다.

역사상 우리 민족이 겪은 가장 치욕적인 사건을 꼽는다면 1637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피신해 있던 인조(仁祖)가 삼전도(지금 서울 잠실)에 내려와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皇太極)에게 무릎 꿇고 한 번 절할 때 마다 세 번 씩 땅에 이마를 부딪치는 소위 삼궤구고두례(三跪九叩頭禮)로 항복을 한 삼전도의 굴욕과 1910년 8월 29일 일본에 나라를 통째로 넘겨준 ‘한일합병(韓日合倂)’을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말이 좋아 ‘삼고두례’이지 만인지상(萬人之上)인 임금이 제 나라 백성 앞에서 타국의 황제에게 이마에 피를 흘리며 절을 한 치욕은 차라리 죽음보다도 더한, 수치스러운 일이었습니다. 그럼 한일합방은 어떤가. 일본의 앞잡이인 매국노들이 어전회의에서 통째로 나라를 넘겨준 ‘경술국치(庚戌國恥)’야 말로 피를 토하고 쓰러져야 할 분하고 분한 ‘흑역사’가 아니었던가.

지난 시절 학교에서는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치욕의 날”이라고 가르치고 달력에는 8월 29일 글자 밑에 ‘국치일’이라고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어있어 “아, 오늘이 그 날이구나”하고 마음을 가다듬곤 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그 세 글자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 지 오래되었습니다.

무엇 때문일까? 부끄러운 역사이기에? 뼈아픈 과거사이기에? 생각하고 싶지 않은 일이기 때문일까? 아니면 우리 국민의 고질인 ‘망각증’ 때문일까? 나는 정녕 그 이유를 알지 못합니다.

한때는 “역사를 바로 세우겠다”는 대통령도 있었고 “올바른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소리도 들렸지만 그것이 또 다른 ‘꼼수’로 밝혀지면서 국치일은 그냥 그렇게 국민들의 뇌리 속에서 잊혀져 버렸습니다.

 

―그 날도 전과 다름없이 거리는 평온했습니다. 다른 것이 있었다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일본 순사와 헌병들이 길목에 서서 경계를 펼치는 것 말고는 별 달리 다른 모습은 없었습니다.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의 수도인 한성(漢城)의 거리풍경은 그러했습니다. 이튿날 조선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는 ‘모든 소란이 한성에서부터 시작되는데 한성이 조용하니 다른 지방도 걱정 할 것이 없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런데 그와 같은 평온은 이미 1주일 전 창덕궁에서 열렸던 어전회의(御前會議)에서부터 예견되었습니다. 국가의 존망이 걸린 중차대한 회의였음에도 문부대신 이용직이 이의제기와 함께 퇴장 한 것을 빼놓고는 다른 누구, 반대하는 사람 없이 사전각본에 따라 일사천리로 합병안을 통과시켰습니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이미 외교권을 빼앗기고 총리대신 이완용과 송병준 등 친일파들이 “빨리 합방해 달라”고 청원서를 만들어 바치는 등 일본에 충성경쟁을 벌이던 터였기에 실은 이상 할 것도 없었습니다. 1392년 개국해 518년 간 지속돼 온 조선왕조는 27대를 끝으로 그렇게 허망하게 막을 내렸습니다.

세계의 여론도 조선의 패망에 우호적이지 않았습니다. 전 세계에 식민지를 거느리던 영국 정부는 “하등 반대할 만한 이유가 없다”고 축하성명을 발표했고, 미국정부 역시 일본의 강점(强占)을 지지하고 심지어 신문들은 “일한병합’이 한국 민중의 행복을 증진해 줄 것”이라고 논평을 할 정도였습니다." ‘초록은 동색((草綠同色)’이라고 강대국들의 태도는 똑 같았습니다. 국제사회는 그렇게 약자를 외면하고 강자의 편을 들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식를 마친 뒤 어린이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NEWSIS

합방에 성공한 일본은 곧바로 공이 큰 조선인들에게 논공행상(論功行賞)을 실시합니다. 왕족과 고위관리 76명에게 작위(爵位)를 수여했고 관리 3559명, 양반과 유생(儒生) 9811명에게는 은사금을 주었습니다. 또 재소자 1700명을 석방하고 3200명의 효자 효부 열녀, 7만902명의 과부와 노인들에게는 위로금을 주었습니다. 일본은 그처럼 선심을 씀으로써 민심을 회유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망국의 분을 삭이지 못해 전국에서 45명이 목숨을 끊어 항거했습니다. 그들 중에는 선비 황현을 비롯해 금산군수 홍범식도 있었고 전라도 어느 마을의 머슴인 천민 돌쇠도 있었습니다.

나라가 망한 대가로 어떤 사람들은 원수로부터 돈과 명예를 얻었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의분을 못 이겨 죽음의 길을 택했으니, 백척간두에 선 나라의 운명 앞에 같은 민족이 보인 모습은 그렇게 달랐습니다.

과거에 급제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고향인 전라도 구례에 묻혀 살던 매천(梅泉) 황현(黃玹)은 합방소식을 듣고 참담한 심정으로 “나는 나라가 망했다하여 반드시 죽어야 할 의리는 없다. 그러나 나라에서 500년간 선비를 양성해 왔는데 선비로서 어찌 한 사람 죽는 이가 없어서야 되겠는가”라는 유서와 함께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 빛은 창천에 비치네. 가을 등잔에 읽던 책 덮어두고 천고의 옛일 생각하니 어찌하여 이 세상에 글 아는 사람이 되었던가―라는 절명시(絶命詩)를 남기고 분연히 자결했습니다.

전라도 금산군수 홍범식(洪範植)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명문가 출신이면서도 평소 나라에 대한 생각이 깊었던 홍범식은 전임군수에 의해 국유로 몰수되어 빼앗긴 백성들의 땅을 찾아 주는 등 평소 선정(善政)을 베풀어 군민들의 칭송을 받았습니다.

홍범식은 일본이 한국을 집어 삼키려는 음모를 일찍 알아채고 남몰래 괴로워하면서 “아, 내가 이미 사방 백 리의 땅을 지키는 몸이면서도 힘이 없어 나라가 망하는 것을 구하지 못하니 속히 죽는 것만 같지 못하다”며 뒤뜰 소나무에 목을 맵니다.

그가 죽은 뒤 안방에는 ‘國破君己 不死何爲’(국파군기 불사하위·나라가 망하고 임금이 없어지니 죽지 않고 어찌 하리)라는 여덟 자 유시(遺詩)가 붙여져 있었습니다. 이때 그의 나이 40세. 홍범식은 소설 ‘임꺽정’의 저자로 월북해 부수상을 지낸 홍명희의 아버지입니다.― (송건호·한국현대사)

 

듣자하니 “역사는 민족의 자존감을 먼저 생각해 기록해야 하는데 자랑할 일도 아닌 것을 잊지 않고 대대손손 전할 필요가 있느냐”는 나름의 충정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소리도 들립니다.

기가 막힙니다. 역사란 있었던 일을 사실대로 기록하고 전하는 것이 정도(正道)입니다. 축하할 것은 축하하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잊지 않고 기억해야하는 것이 제대로 된 역사입니다. 일 년에 단 하루만이라도 온 국민이 진정어린 마음으로 와신상담(臥薪嘗膽), 그 날의 쓰디쓴 기억을 반추(反芻)하고 왜,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가를 성찰하는 것이 옳은 태도입니다.

나라의 힘이 모자라서 그랬는지, 이 나라, 저 나라 대국의 앞잡이 노릇을 하느라 패를 갈라 싸우다 보니 그리 되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는 말입니다. 1910년 1700만 민족이 식민지 치하의 노예로 전락해 35년 동안 어떤 수모를 당했습니까.

역사는 지울 수가 없습니다.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천추만대(千秋萬代) 전해지는 것이 역사입니다. 요순(堯舜)의 태평성대도, 진시황의 폭정도 그대로 전해지고 네로황제의 악행도, 히틀러의 만행도 후세에 그대로 전해오고 있습니다.

그게 바로 역사입니다. 좋은 것만 골라서 기억하고 나쁜 것은 기억에서 지우려한다고 해서 지워지는 것이 아닙니다. 부모가 죽으면 자식들이 모여 해마다 제사를 지냅니다. 하물며 나라가 망한 날에 국민들이 그것을 잊고 있다면 그건 또 하나, 역사에 대한 배덕(背德)입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노래하고 춤추고 배불리고 술 취해 희희낙락 하는 일이 아니요, 국론을 통합하고 좀 모자라도 같이 손잡고 함께 가는 좋은 사회를 만드는 일이 먼저입니다. 누군가 말했지요. “용서하라. 그러나 잊지는 말라”고. 또 하나, “지난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민족은 또 다시 같은 비극을 되풀이 할 수밖에 없다”고. 경술국치 109년, 오늘 그것을 생각합니다.

저작권자 © 충청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